728x90
1. DDL(Data Definition Language)
데이터와 그 구조를 정의합니다.
1) CREATE :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생성합니다.
2) DROP :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삭제합니다.
3) ALTER : 기존에 존재하는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재정정의하는 역할을 합니다.
4) RENAME : 데이터베이스의 컬럼명을 변경합니다.
5) TRUNCATE : 테이블을 최초 생성된 초기상태로 만들며, ROLLBACK이 불가능합니다.
2. DML(Data Manipulation Language)
데이터의 검색, 수정, 삭제 등을 처리합니다.
1) INSERT : 데이터베이스 객체에 데이터를 입력합니다.
2) DELETE : 데이터베이스 객체의 데이터를 삭제합니다.
3) UPDATE : 기존에 존재하는 데이터베이스 객체 안의 데이터를 수정합니다.
4) SELECT : 데이터베이스 객체로부터 데이터를 검색합니다.
5) COMMIT : 변경사항을 저장합니다.
6) ROLLBACK : 변경사항을 취소합니다.
3. DCL(Data Control Language)
데이터베이스 사용자의 권한을 제어합니다.
1) GRANT : 데이터베이스 객체에 권한을 부여합니다.
2) REVOKE : 이미 부여된 데이터베이스 객체의 권한을 취소합니다.
728x90
'개발 > 오라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오라클 - 숫자 컬럼 기준 정렬이 이상하게 되는 경우 (0) | 2018.03.10 |
---|---|
오라클 - 조인(JOIN)의 종류 (0) | 2018.02.20 |
오라클 RANK 심화 - RANK() WITHIN GROUP(), RANK() OVER(), ROW_NUMBER() OVER(), DENSE_RANK() (0) | 2018.02.18 |
오라클 AVG 심화 - AVG() OVER() (0) | 2018.02.18 |
댓글